[한국일보] "'구금 사태 일어난 미국 진출…인력 현지화가 성패 갈라'"
- Ji Min Yoo
- Sep 26
- 2 min read
Published by Hankook Ilbo on 09/26/2025
<미국 진출 한국 기업 현지화 세미나>
"미국 규범 맞은 HR체계 구축
협력사 포함 직원 비자 통합관리를"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구금 사태 같은 상황을 막으려면 ①전자여행허가(ESTA)를 활용한 출장은 금지하고 ②주재원(L1)·투자자(E2)처럼 목적에 맞는 비자를 확보한 인력만 내보내고 ③현지 인력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내 공장과 법인을 운영하는 한국 기업이 늘어나면서 HR 현지화 전략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의원회의실에서 '미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가이드 및 토탈 HR 솔루션'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한국 인력 구금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번 구금 사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인 일자리 우선 정책과 반이민 기조에 따른 규제 강화를 비롯한 외부 요소가 주요인이지만 우리 기업 내부 취약 성과도 맞물려 있다고 분석됐다. 특히 관행화된 단기 파견 중심 인력 운용이 주요 한계로 꼽혔다. 기업들은 ESTA 출장 원칙적 금지, 목적 적합 비자(B1·L1·E2 등) 확보자만 출국, 소속·업무 범위를 명기한 증빙서류 필수 지참, 방문 목적의 명확화, 이슈 발생 시 즉시 보고 체계 마련 등의 실무 조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둔 북미 최대 아시안계 헤드헌팅업체 'HRCap'의 김성수 대표는 "단기 대응을 넘어 궁극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미국의 법·제도·노동시장에 맞춘 인사관리(HR) 체계를 구축해 현지에 뿌리를 내리고 생태계를 형성하는 수준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합법 비자 포트폴리오 확보, 협력사 규정 준수, 현지 인재 기반 운영이 핵심이며 이를 통해 단기 리스크를 흡수하고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STA 출장 자제, 목적 적합 비자만 출국

미국 시장 진출에 필요한 HR 현지화(Localization) 전략도 주문했다. 협력사를 포함한 모든 직원의 비자 상태와 체류 현황, 공정 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HR 준법경영 '대시보드'와 비자 추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해법으로 인력 현지화가 제시됐다. 파견 인력은 초기 기술 전수에는 필요하지만 장기 운영에는 비효율적이므로, 파견 인력은 본사와 현지 조직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과 기술 전수에 집중하고 운영·법규·대외관계는 현지 리더십이 주도하는 '듀얼 리더십(Dual Leadership)'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기업 B사의 한 임원은 "당장은 영주권자나 시민권자 인력을 보강해 공백을 최소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지역 교육기관과 협력해 맞춤형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