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매일경제] "'대한상의 ‘美 진출 HR 전략’ 제안…비자 통합관리·현지 리더십 강조'"

  • Writer: Ji Min Yoo
    Ji Min Yoo
  • Sep 25
  • 2 min read

Published by Maeil Business Newspaper on 09/25/2025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미국 비자를 발급받으려는 시민들 [연합뉴스]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미국 비자를 발급받으려는 시민들 [연합뉴스]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사건을 계기로 비자 리스크에 대한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장기적으로 현지화 기반의 인력 관리 체계가 미국 시장 진출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조언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의원회의실에서 ‘미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가이드 및 토탈 HR(인력) 솔루션’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우리 기업들의 안정적 인력 운영 전략을 논의했다.


발표를 맡은 김성수 에이치알캡(HRCap) 대표는 “단기 대응을 넘어 미국 법·제도·노동시장에 맞춘 HR 거버넌스를 구축해 현지에 뿌리를 내리고 생태계를 형성하는 수준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합법 비자 포트폴리오 확보, 협력사 규정 준수, 현지 인재 기반 운영을 통해 단기 리스크를 흡수하고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대표는 기업들이 직면한 핵심 문제는 비자 관리라고 밝혔다. 현장에서는 E-2, L-1, H-1B, B1·ESTA 등 다양한 비자가 혼용되고 있는데, 직무와 체류 기간별 요건과 승인 절차가 달라 통합 관리 없이는 리스크가 누적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모든 직원과 협력사 인력의 비자 상태와 체류 현황, 프로젝트 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비자 대시보드’와 추적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 대표는 직무별로 적합한 비자를 사전에 시뮬레이션해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포트폴리오 전략과 계약 단계에서 원청·협력사 간 비자·노무 책임을 명문화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또 본사 파견 인력이 가교 역할과 기술 전수에 집중하고, 운영·법규·대외관계는 현지 리더십이 주도하는 ‘듀얼 리더십’ 모델도 인력 현지화 해법으로 꼽았다.


그는 지역 교육기관과 연계해 현지 인재 파이프라인을 확충하고, 인사·법률·노무 전문가를 현지에 상주시킬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날 참석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이번 세미나는 미국 시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리스크를 정확히 이해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라며 “대한상의는 한국인 전용 E-4 비자 신설을 위해 미국 주 정부를 대상으로 서신을 발송하는 등 기업들의 미국 현지 인력 운영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재범 기자 jbhan@mk.co.kr


 
 
 

Comments


bottom of page